전남

검색
닫기

여수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코앞에 두고 엇박자 행정만

0

- +

[편집자주]

50여 년간 국가와 지역 경제의 대들보 역할을 해온 전남 여수국가산단이 극심한 침체에 빠지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중국·중동 등의 생산량 증가로 인한 공급과잉 등으로 업황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업들과 지자체는 정부 지원책만 속절없이 기다려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노사민정이 머리를 맞대 위기 대응에 나서야 하지만 좀처럼 손발을 맞출 수 없는 게 여수산단의 현주소다. 기업 중심의 적극 행정을 통해 기업 규제 완화와 대규모 투자 유치 등의 성과를 내고 있는 울산시의 사례에 비춰 여수산단의 해법을 들여다본다.

[휘청이는 여수산단, 해법은 어디에④]
전국 최초로 정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
지정 여부 판가름할 현황보고서 정부 실사단 눈높이 못맞춰
여수시 "중앙부처와 충분한 공감대 형성…끝까지 행정력 집중"

▶ 글 싣는 순서
①안팎으로 악재만…불황 속 여수산단의 현주소는
②'업계 불황' 여수산단은 직격탄…울산은 경쟁력 확보
③울산시 원스톱 기업 지원 체계 '성과'…갈 길 먼 여수 행정
④여수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코앞에 두고 엇박자 행정만
(계속)
여수국가산단. 여수시 제공여수국가산단. 여수시 제공석유화학산업의 불황이 길어지면서 전남 여수국가산업단지가 직격탄을 맞고 있는 가운데 정부 지원 요구 등의 대응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여수시의 행정은 여전히 미흡한 모습이다.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역 산업계와 정치권 모두 머리를 맞대야 할 중요한 시기지만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지정 여부를 앞두고도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3일 여수시에 따르면 정부 현장 실사단은 지난달 24일 여수를 찾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에 대한 실사를 벌였다.
 
여수시는 여수산단 침체에 대응해 전국에서 최초로 정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한 상태다.
 
산업통상자원부를 비롯한 중앙부처 관계자 등 22명으로 구성된 정부 실사단은 LG화학 SM공장과 롯데케미칼 2공장을 차례로 방문해 운영 현황과 애로사항 등을 청취했다.
 
기업 현장 실사 이후에는 기업간담회와 현황보고회가 잇따라 진행됐다.
 
지난달 24일 여수시청에서 이뤄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산업부 현지실사 보고회. 여수시 제공지난달 24일 여수시청에서 이뤄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산업부 현지실사 보고회. 여수시 제공여수시는 현황보고를 통해  △원자재 가격 급등 △공장 가동률 저하 △고용 불안 △경기실사지수 악화 등의 악재에 둘러싸인 여수산단의 실정을 설명하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다만, 현황보고 자리를 여수시와 전라남도, 관련 용역사 관계자 중심으로 꾸리면서 지역 산업계의 목소리가 배제됐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앞서 기업인과의 간담회가 이뤄지긴 했지만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여부를 결정한 가늠자로, 현황보고회에 무게가 더 쏠리는 만큼 여수시와 기업이 한자리에서 정부 실사단의 눈높이를 맞췄어야 했다는 지적이다.

여수시는 당초 현황보고회에 지역 기업인 등을 제외했다가 여수상공회의소의 요청으로 산업계 관계자 일부를 포함시켰으나 발언권은 제대로 주어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 현장이 아닌 행정 담당자의 눈높이에서 현황보고가 이뤄지다보니 실사단의 질의에 제대로 된 답도 내놓지 못했다는 게 지역 산업계의 입장이다.

여수상공회의소가 일찍이 여수 석유화학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구성을 요구해온 것에 이어 전라남도가 올해 1월 신설한 '석유화학산업 위기대응추진단'에 여수산단 주요 업체들이 포함된 것을 감안할 때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조처다.
 
여수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여부를 판가름할 정부 실사단과의 현황보고회에서 사실상 배제됐다"며 "석유화학을 전공으로 하는 연구기관이나 화학공학 전문가로 구성된 실사단의 질문에 여수시 공무원들이 제대로 답을 못하는 모습이었다. 산업 현장을 뛰는 산업계 관계자를 초정했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
 
이같은 지적에 여수시 관계자는 "매끄럽지 못했던 부분이 일부 있었지만 정부 실사단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의 필요성에 대해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까다로운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중앙부처를 오간 것만 70회가 넘는다. 끝까지 행정력을 집중해 좋은 결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해명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